- 자동차세 납부 방법 할인 꿀팁 납부 시기 정리(+자동차세 계산기) 목차
자동차세 납부 방법 및 할인받는 방법과 자동차세 납부 시기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동차세는 자동차를 소유자라면 누구나 납부해야 하는데요. 자동차세 납부 시기와 납부 방법, 미납 시 불이익과 간편하게 자동차세를 계산하는 방법까지 소개하겠습니다.
목차
자동차세 납부 방법 간편 정리
자동차세는 PC를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납부하거나, 스마트폰으로도 납부가 가능합니다. 결제수단으로는 신용카드, 은행입금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 본인에게 가장 편한 방법으로 납부하는 것이 중요하며, 납부 시기를 넘기면 가산금이 징수되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1) PC를 이용하여 인터넷 납부
자동차세 납부 방법 중 가장 간편한 것은 위택스(WETAX) 사이트를 방문하는 것입니다. 위택스는 전국 지방세 신고 및 납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위택스 메인 화면에 접속한 뒤 ‘납부’ 메뉴를 클릭하면 자동차세를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 고지서를 받으셨다면 전자납부번호(17~19자리)를 입력하거나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차세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 서울 시민이라면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이택스(ETAX) 사이트에서도 자동차세 납부가 가능합니다. 또한 자동차세는 인터넷 지로 사이트(https://www.giro.or.kr/)에서도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
2) 스마트 위택스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에서 납부
PC 보다 더욱 간편한 자동차세 납부 방법이 '스마트 위택스'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스마트 위택스는 휴대폰에서 자동차세를 포함한 지방세 등을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스마트 위택스 앱을 설치한 뒤 인증센터에서 공동인증서를 가져오기 한 후 자동차세 납부가 가능합니다. 서울 시민이라면 서울시 세금 납부 앱인 '서울시 STAX'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은행 계좌이체 및 ATM기기 활용
PC나 스마트 기기 활용이 익숙지 않으신 분들은 평소 이용하시는 은행 계좌이체를 통해 간편하게 자동차세 납부 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세 고지서를 받으셨다면 고지서에 기재된 납부 계좌로 계좌이체를 할 수도 있고, 평소 이용하시는 주거래 은행이 있다면 각 은행의 홈페이지에서 공과금 메뉴를 찾아 납부할 수도 있습니다. 한편, 계좌이체나 인터넷뱅킹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면 은행 창구를 방문하거나 은행 ATM기기를 이용하여 납부할 수 있습니다. 은행 CD/ATM를 활용하여 자동차세 납부 하는 방법은 기기에 카드나 통장 투입 → ‘국세·지방세·공과금’ → ‘지방세’ → ‘본인납부’ 또는 ‘타인납부’(전자납부번호 필요) → 납부 절차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자동차세 납부 시기
자동차 소유주라면 매년 자동차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자동차세는 영업용과 비영업용으로 구분할 수 있고, 비영업용은 배기량에 따라 세율이 다릅니다. 가장 일반적인 승용차 소유주를 기준으로 자동차세는 연 2회 납부합니다.
- 자동차세 1 기분 / 1월 ~ 6월 / 납부 시기 : 6월 16일 ~ 6월 30일
- 자동차세 2 기분 / 7월 ~ 12월 / 납부 시기 : 12월 16일 ~ 12월 31일
자동차세는 후불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매년 1월부터 6월 말까지 자동차를 소유한 것에 대한 자동차세는 6월 정기분으로 부과됩니다. 또한 7월부터 12월까지 기간에 해당하는 세금은 12월에 부과되고 있습니다. 과세 기간 중간에 차량을 새로 구입했거나 폐차를 한 경우에는 소유권 이전 등록일을 기준으로 일할 계산한 금액을 징수합니다. 따라서 소유권 이전 등록일을 기준으로 환급받거나 추가 징수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일반적인 자동차세 납부 시기는 연 2회입니다. 전반기에 해당하는 1 기분은 6월 16일부터 6월 30일 사이에 납부하면 됩니다. 또한 하반기에 해당하는 2 기분은 12월 16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자동차세 납부를 해야 합니다. 자동차세 납부 마감일이 지나면 가산금이 징수되고 지속적으로 납부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압류되거나 자동차 번호판이 영치되는 등의 손해를 입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자동차세 납부 할인받는 방법
자동차세 납부는 보통 1년에 두 번 나누어내는 방식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자동차세를 미리 연납하면 최대 7%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세 연납 신청은 1월, 3월, 6월, 9월에 매월 16일부터 말일까지 접수할 수 있습니다. 할인 혜택은 신청한 달의 다음 달부터 적용되므로 최대한 빨리 신청하는 것이 이득입니다. 1월에 자동차세를 연납했다면 다음 연도 1월에 관할 지자체에서 공제된 고지서를 보내줍니다. 자동차세는 카드 납부도 가능하기 때문에 실적도 쌓고 카드사별로 제공하는 별도의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세 조회 및 자동차세 계산기
한편 고지서를 받지 못했거나 분실했을 경우에는 자동차세를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서울 외 지역에 거주하는 차량의 소유주는 위택스(WETAX) 홈페이지에서 자동차세 조회가 가능합니다. 차량번호 및 주민번호를 입력하면 납부해야 할 자동차세 및 납부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편, 서울시 거주자는 서울시 이택스(ETAX)에서 자동차세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서울 이외 지역 자동차세 조회 : 위택스(WETAX) 홈페이지 및 스마트 위택스 앱
- 서울 시민 자동차세 조회 : 이택스(ETAX) 홈페이지 및 스마트 이택스 앱
마지막으로 자동차세가 부과되기 전 처음 차량을 등록했거나 차량을 구매할 예정이라면 미리 자동차세를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위택스와 이택스에서는 차종과 각종 정보를 입력하면 간단하게 자동차세 납부 금액 계산을 해볼 수 있습니다. 위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해 지방세 정보 > 지방세 미리 계산 메뉴를 통해 자동차세 납부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 이택스 홈페이지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차종 구분과 차량 용도, 최초 등록일, 과세 연도, 배기량을 입력하면 자동차세와 교육세(자동차세의 30%)를 합산한 예상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